킬딘 사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딘 사미어는 러시아의 콜라 반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미어의 한 방언이다. 킬딘 사미어는 로보제로 지역을 중심으로 무르만스크주에서 사용되었으나, 러시아화 정책과 킬딘 사미어 공동체의 분산으로 인해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킬딘 사미어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표기되며, 음운론과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부터 킬딘 사미어 부흥을 위한 노력이 있었지만, 교육 부족과 언어 사용의 감소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미어파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룰레 사미어
룰레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와 노르웨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약 650명의 화자를 가진 사미어의 한 방언으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1983년 표준화되었고, 7개의 격과 특이한 동사 활용 체계를 갖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킬딘 사미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킬딘 사미어 |
고유 이름 | Кӣллт са̄мь кӣлл (Kiillt saam' kiill)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콜라 반도 (무르만스크 주) |
화자 수 | 약 341명 (2020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우랄어족 - 사미어군 - 동부 사미어군 - 반도 사미어군 |
문자 | 키릴 문자 |
ISO 639-3 | sjd |
Glottolog | kild1236 |
언어 지도 | |
![]() | |
2. 지리적 분포
12세기에 킬딘 사미인(콜라 사미인)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 온 포모르 상인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다.[3] 13세기~14세기 동안 러시아인들은 콜라 반도와 당시 테르 해안으로 알려진 지역에 정착했다. 15세기~16세기 동안 러시아인들은 북부 카렐리아를 점령하고 공동체를 건설하면서 킬딘 사미인과 러시아인 간의 접촉이 증가했다.[3] 19세기 콜라 사미인들은 가족 공동체를 통해 조직되어 목초지에서 일하고, 어업과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했다.[5] 러시아 제국에서 킬딘 사미인은 자신의 문제를 통제하고, 학교를 통해 언어를 교육할 권리를 갖지 못했다.[6] 니콜라이 2세의 차르 정권이 무너지고 1917년 혁명 이후, 소련은 사미족 언어와 문화를 개발하고 보호하는 법률을 시행했다.[7]
원래 킬딘 사미어는 콜라 반도의 본토와 해안 지역의 밀집된 지역에서 사용되었다.[8] 오늘날 킬딘 사미어 사용자는 무르만스크주의 시골 및 도시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8] 사용자가 가장 많이 집중된 곳은 로보제로 지역이다. 다른 킬딘 사미어 사용자는 레브다, 콜라, 로파르스카야, 테리베르카 등 반도의 마을과 소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으며, 올레네고르스크와 아파티티와 같은 무르만스크 주의 더 큰 도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2][3] 로보제로는 약 3,000명의 전체 마을 인구 중 700~800명의 민족 사미족이 여전히 이 언어를 사용하는 주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8] 그러나 오늘날 사미족은 로보제로에서 소수에 불과하며, 인구의 대다수는 러시아인과 이즈마 코미족으로 구성되어 있다.[4]
3. 역사
3. 1. 초기 역사
12세기경부터 킬딘 사미인(콜라 사미인)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 온 포모르 상인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다.[3] 13세기~14세기 동안 러시아인들은 콜라 반도와 당시 테르 해안으로 알려진 지역에 정착하여 거주지를 건설했다. 15세기~16세기 동안 러시아인들은 북부 카렐리아를 대거 점령하고 자체 공동체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킬딘 사미인과 러시아인 간의 접촉이 자연스럽게 증가했다.[3] 19세기에는 콜라 사미인들이 끈끈한 가족 공동체를 통해 조직되어 스스로를 옹호했는데, 그들은 목초지에서 일하고,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사냥을 통해 생존했고, 이는 모두 대가족이 함께 정해진 영토 안에서 이루어졌다.[5]
3. 2. 스탈린 시대
1930년대, 요제프 스탈린의 집권과 그의 억압적인 전술과 함께 러시아 민족주의와 러시아 정체성에 대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면서 콜라 사미어와 문화는 극심한 압박을 받았다.[7] 그의 억압적인 농업, 경제 및 문화 정책은 집단화에 저항한 사람들의 체포로 이어졌으며, 여기에는 콜라 툰드라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이 포함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에 러시아가 참전하면서 킬딘 사미족 청년들은 징집되어 붉은 군대에서 복무하게 되었고, 이는 그들이 일시적으로 겪었던 고난과 편견을 줄였다.[6]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탄압은 종식되었지만, 러시아화 정책은 계속되었으며 사미어 관련 작업은 새로운 교육 자료와 사전이 출판된 1980년대 초에야 다시 시작되었다.[7]
3. 3. 현재 상황
킬딘 사미어는 현재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이다.[8] 킬딘 사미어 공동체에서는 러시아어가 매우 널리 사용되어, 원어는 거의 들리지 않거나, 여전히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들이 고립된 공동체 내에서 사적으로만 사용하는 정도이다.[8] 언어 화자 수 감소와 쇠퇴의 이유는 교육 부족, 사미족의 분산, 전통적인 사미족의 기술과 생활 방식의 세대 간 전수 부재 등이다.[10][11] 로보제로에서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선택 과목으로 킬딘 사미어를 가르쳤지만, 2014-15 학년부터는 사미 역사, 문화 및 민속에 대한 더 광범위한 수업에 통합되었다.[9]
4. 킬딘 사미어의 기회와 도전
킬딘 사미어를 되살리고 널리 사용하기 위한 여러 기회와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기회
- 로보제로의 사미 공동체처럼 킬딘 사미어를 일상생활에서 다시 사용하고, 이에 대한 인식과 지원을 높일 수 있다.[7]
- 젊은 세대가 킬딘 사미어 사용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언어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7]
- 여러 정치 및 문화 단체들이 사미 전통을 지키기 위한 정책과 지역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7]
- 러시아 연방 법률은 사미족에게 언어 주권과 언어 사용 및 발전 권리를 보장한다.[7]
- 콜라 사미 공동체는 지방 자치 단체 및 지역 당국과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언어와 문화 발전에 협력할 수 있다.[7]
도전
- 대부분의 아이들은 전통 언어, 관습, 신념에 대해 모르고, 이를 배울 교육도 받지 못하고 있다.[7]
- 낡고 비효율적인 자료, 구식 교육 방식이 언어 교육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7]
- 미래 세대로 언어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부족하고, 학문적 사용을 위한 기록 보존이나 높은 수준의 킬딘 사미어 학습 기회 마련 노력도 없다.[7]
- 당국과 일부 정부 관계자는 언어 부활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만, 지역 사회는 방법을 모르거나 누구에게 연락해야 할지 몰라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7]
- 언어 운동가, 전문가, 사용자 간의 협력이나 팀워크가 부족하고, 언어 학습을 위한 조직적인 과정도 없다.[7]
- 언어 센터나 더 조정된 언어 작업을 위한 이니셔티브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7]
4. 1. 기회
킬딘 사미어를 부활시키고, 재통합하여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예를 들어, 로보제로의 사미 공동체처럼 킬딘 사미어를 일상적인 의사소통 언어로 재도입하고 인식과 지원을 높이는 것이다.[7] 청소년들이 킬딘 사미어 사용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언어 생존에 도움이 될 수 있다.[7] 상당수의 정치 및 문화 킬딘 사미어 단체들은 사미 전통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정책과 지역 조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언어가 오래 살아남기 위해 중요하다.[7] 러시아 연방 법률은 사미족에게 언어 주권과 언어를 사용하고 발전시킬 권리를 부여하는 여러 법적 권리를 보장한다.[7] 그러나 이러한 권리를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콜라 사미 공동체가 지방 자치 단체 및 지역 당국과 지속적으로 건설적인 대화를 가져야 하며, 이들은 사미 언어와 문화 발전에 협력할 의사를 표명했다.[7]4. 2. 도전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신들의 전통 언어, 관습, 신념에 대해 무지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7] 낡은 자료, 비효율적이거나 접근성이 떨어지는 자료, 구식 교육 방식이 언어 교육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미래 세대로의 언어 전달 노력도 없고, 학문적 사용을 위한 기록된 언어를 보존하거나 더 높은 수준에서 킬딘 사미어를 배울 기회를 만들려는 적극적인 노력도 없다.[7] 당국과 일부 정부 관계자는 언어 부활 및 활성화에 대한 의지와 열망을 표현하지만, 지역 사회는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방법을 모르거나 누구에게 연락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7] 언어 운동가, 언어 전문가, 언어 사용자 간의 협력이나 팀워크가 없고, 더 많은 사람들이 킬딘 사미어를 배우는 것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조정되고 조직적인 과정도 없다.[7] 언어 센터나 더 조정되고 잘 계획된 언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이니셔티브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7]5. 음운론
킬딘 사미어는 자음과 모음 체계가 비교적 복잡한 편이다. '우랄어 가이드'(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에서는 파열음화된 자음과 유성 치경음 및 후치경 마찰음과 파찰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에서 중복 자음이 나타난다고 설명한다.[12] 또한, 해당 가이드와 림마 쿠루치의 사전에서는 킬딘 사미어의 단모음 체계에 대해 서로 약간 다른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14]
5. 1. 자음
다음은 '우랄어 가이드'(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에 제시된 킬딘 사미어의 자음 음소 표이다.[12]colspan="2" row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
비음 | 무성음 | ||||||||
유성음 | colspan="2" | | ||||||||
파열음 | 유기음화된 | ||||||||
무성음 | |||||||||
유성음 | |||||||||
파찰음 | 유기음화된 | ||||||||
무성음 | |||||||||
유성음 | |||||||||
마찰음 | 무성음 | ||||||||
유성음 | |||||||||
전동음 | 무성음 | ||||||||
유성음 | |||||||||
접근음 | 무성음 | colspan="2" | | |||||||
유성음 | colspan="2" | | ||||||||
설측음 | 무성음 | ||||||||
유성음 | colspan="2" | |
파열음화된 자음과 유성 치경음 및 후치경 마찰음과 파찰음을 제외하고, 모든 자음에서 중복 자음이 나타난다.[12]
5. 2. 모음
'우랄어 가이드'에서는 킬딘 사미어의 단모음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14]
림마 쿠루치의 사전은 이와 약간 다른 단모음 체계를 제시한다.
6. 문자 체계
킬딘 사미어는 1980년대부터 확장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해왔다. 이 알파벳은 몇몇 글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세 가지 변형이 있다. Sammallahti/Khvorostukhina 사전(1991)은 '''Ҋ'''와 '''ʼ'''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고, Antonova 외(1985)는 '''Ј'''와 '''Һ'''를 사용하며, Kert(1986)가 사용한 세 번째 표기 변형에는 이 글자들이 모두 없다.
글자 '''Ӓ''', '''Ҋ'''/'''Ј''', '''Һ'''/'''ʼ''' (아포스트로피), '''Ӆ''', '''Ӎ''', '''Ӊ''', '''Ӈ''', '''Ҏ''', '''Ъ''', '''Ь''', '''Ҍ''' 및 '''Ӭ'''는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이 글자들이 앞선 자음의 특징을 나타내거나, 그들이 나타내는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자들은 대문자 텍스트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나타나지 않는다.
글자 '''Щ'''는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아 | Ӓ ӓ | 베 | 베 | 게 | 데 | 예/얘 | 요/얘 | 제 | 제 | Һ/ʼ | |
---|---|---|---|---|---|---|---|---|---|---|---|
or | or | colspan="2" | | |||||||||
이 | 이 | Ҋ/Ј | Ҋ/Ј | 케 | 엘 | Ӆ ӆ | 엠 | Ӎ ӎ | 엔 | Ӊ ӊ | |
or or | /j̊/ | /l̥/ | colspan="2" | | ||||||||
Ӈ ӈ | 오 | 페 | 에르 | Ҏ ҏ | 에스 | 테 | 우 | 에프 | 하 | 체 | |
colspan="2" | | |||||||||||
체 | 샤 | 샤 | (없음) | 이 | (없음) | Ҍ ҍ | 에 | Ӭ ӭ | 유/유 | 야/야 | |
or | or |
6. 1. 문자 표기 원칙
킬딘 사미어의 문자 표기 원칙은 러시아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점을 보인다.- 경구개음화:
- 러시아어와 같이 자음 뒤에 문자 Ь 또는 모음 문자 '''Е''', '''Ё''', '''И''', '''Ю''', '''Я''' 중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 경구개음화된 Д, Т, Н은 ҍ 또는 모음 문자 '''Ӓ'''와 '''Ӭ''' 중 하나로 표시한다.
- 자음 문자 Н이 Ь 또는 모음 문자 '''Е''', '''Ё''', '''И''', '''Ю''', '''Я''' 중 하나 앞에 오는 경우, 경구개음화가 아닌 경구개 비음 을 나타낸다.
- 장모음:
- 모음 문자 위에 매크론을 표시하여 나타낸다(Ё의 경우 분음 기호 위에 표시).
- 기식:
- 글자 '''Һ'''는 글자 '''П''', '''Т''', '''К''', '''Ц''' 및 '''Ч''' 앞에 나타나며 (역사적인) 기식을 나타낸다.
- 실제 발음은 참된 기식 과 마찰음 , , 또는 사이에서 다양하다.
- 무성 공명음:
- 문자 '''Ҋ'''/'''Ј''', '''Ӆ''', '''Ӎ''', '''Ӊ''', 그리고 '''Ҏ'''으로 표기된다.
- 연구개 비음:
- '''Ӈ'''는 연구개 비음으로 표기된다.
7. 문법
=== 명사 ===
킬딘 사미어의 명사는 여러 격변화로 분류된다.[15]
=== 부정 ===
킬딘 사미어에서 부정은 통사론적으로 형성되는데, 유한 부정 조동사와 반의문형 동사(동사의 부정형)의 유한 본동사로 구성된다. 부정 조동사는 인칭, 수, 법에 따라 굴절되며, 본동사는 시제에 따라 표시된다.[16]
단수 | 복수 | |
---|---|---|
1인칭 | emm | jieʹbb |
2인칭 | egg | jieʹbbe |
3인칭 | ejj | jiev |
비인칭 | jieʹdt | |
명령형 | jieʹl | jieʹlle |
- Mun emm tʹēdʹ koalʹe Evvan li puadtma.|나는 이반이 왔는지 안 왔는지 모른다.sjd
- Sōnn ejj tʹēdtma koalʹe sōnn jo ujjtma li.|그는 그가 이미 갔는지 모른다.sjd
3인칭 동사 "to be"의 부정은 본동사와 부정 조동사의 융합으로 나타난다.
- ''ellʹa'' = "is not", ''ejj'' (3인칭 단수 부정 조동사)와 ''lea'' (반의문형, 현재,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 ''jievla'' = "are not", ''jiev'' (3인칭 복수 부정 조동사)와 ''lea'' (반의문형, 현재,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 ''ellʹij'' = "was not", ''ejj'' (3인칭 단수 부정 조동사)와 ''liijja'' (반의문형, 과거,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과거 시제의 3인칭 복수에서는 부정 조동사와 본동사 "to be"의 융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 ''jiev liijja'' = "were not", ''jiev'' (3인칭 복수 부정 조동사)와 ''liijja'' (반의문형, 과거,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부정 불특정 대명사는 부정 접두사 ''ni-''로 형성된다. 이는 킬딘 사미어에서 유일한 접두사이며 러시아어에서 차용되었다. ''ni-''는 모든 의문 대명사에 사용될 수 있으며, 격에 따라 굴절된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17]
- ''ni-kʹē'' 주격 단수 "아무도"
- ''ni-kʹējn'' 공동격 단수 "아무와도"
- ''ni-kʹēnn'' 소유격 단수 "아무의 것도 아닌"
- ''ni-mī'' 주격 단수 "아무것도"
- ''ni-mēnn'' 대격 단수 "아무것도"
ni-mēnn munn emm ujn|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sjd
7. 1. 명사
쿠루치의 주장에 따르면, 킬딘 사미어 명사는 여러 격변화로 분류된다.[15]7. 2. 부정
킬딘 사미어에서 부정은 통사론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유한 부정 조동사와 반의문형(동사의 부정형)의 유한 본동사로 구성된다. 부정 조동사는 인칭, 수, 법에 따라 굴절되며, 본동사는 시제에 따라 표시된다.[16]단수 | 복수 | |
---|---|---|
1인칭 | emm | jieʹbb |
2인칭 | egg | jieʹbbe |
3인칭 | ejj | jiev |
비인칭 | jieʹdt | |
명령형 | jieʹl | jieʹlle |
- Mun emm tʹēdʹ koalʹe Evvan li puadtma.|나는 이반이 왔는지 안 왔는지 모른다.sjd
- Sōnn ejj tʹēdtma koalʹe sōnn jo ujjtma li.|그는 그가 이미 갔는지 모른다.sjd
3인칭 동사 "to be"의 부정은 본동사와 부정 조동사의 융합으로 나타난다.
- ''ellʹa'' = "is not", ''ejj'' (3인칭 단수 부정 조동사)와 ''lea'' (반의문형, 현재,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 ''jievla'' = "are not", ''jiev'' (3인칭 복수 부정 조동사)와 ''lea'' (반의문형, 현재,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 ''ellʹij'' = "was not", ''ejj'' (3인칭 단수 부정 조동사)와 ''liijja'' (반의문형, 과거,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과거 시제의 3인칭 복수에서는 부정 조동사와 본동사 "to be"의 융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 ''jiev liijja'' = "were not", ''jiev'' (3인칭 복수 부정 조동사)와 ''liijja'' (반의문형, 과거, 본동사: "to be")의 합성어
부정 불특정 대명사는 부정 접두사 ''ni-''로 형성된다. 이는 킬딘 사미어에서 유일한 접두사이며 러시아어에서 차용되었다. 접두사 ''ni-''는 모든 의문 대명사에 사용될 수 있다. 부정 불특정 대명사는 격에 따라 굴절된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17]
- ''ni-kʹē'' 주격 단수 "아무도"
- ''ni-kʹējn'' 공동격 단수 "아무와도"
- ''ni-kʹēnn'' 소유격 단수 "아무의 것도 아닌"
- ''ni-mī'' 주격 단수 "아무것도"
- ''ni-mēnn'' 대격 단수 "아무것도"
ni-mēnn munn emm ujn|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sjd
8. 어휘
킬딘 사미어는 다른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주변 언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특히 러시아어에서 차용어가 많이 유입되었다.
8. 1. 영어 차용어
''툰드라''는 러시아어를 거쳐 영어로 차용된 단어이다. 킬딘 사미어 тӯндар|툰다르sjd ()는 "수목이 없는 평원"을 의미하지만, 그 소유격은 тӯндра|툰드라sjd ()이다.9. 문학
1897년에 마태복음 1장부터 22장까지의 내용이 킬딘 사미어로 출판되었다. 이 번역본은 핀란드 언어학자 아르비드 게네츠가 키릴 문자로 번역했으며, 원어민들의 자문을 받아 영국 성서 공회의 비용으로 인쇄되었다.[1] (나머지 복음서는 악칼라 사미어로 번역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Итоги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20 года. Таблица 6. Население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023-01-03
[2]
논문
Språk og språkforhold i Sápmi: Documenting the endangered Kola Saami languages
http://edoc.hu-berli[...]
[3]
논문
Komi-Saami–Russian contacts on the Kola peninsula
[4]
논문
Куэссь не получается сāмас, рyшас полегче"–codeswitching on the Kola Peninsula
http://septentrio.ui[...]
[5]
논문
Babinski and Ekostrovski: Saami pogosty on the western Kola Peninsula, Russia from 1880 to 1940
[6]
논문
Kola Sami in the Stalinist Terror: A Quantitative Analysis
http://www.diva-port[...]
[7]
논문
Kola Sami language revitalisation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Örebro University
[8]
논문
Towards a digital infrastructure for Kildin Saami
http://www.siberian-[...]
[9]
논문
The Place of Indigenous Languages in the Russian System of School Education: A Legal Analysis
https://brill.com/vi[...]
2019
[10]
논문
Saami Dictionary-Making: Preserving Indigenous Finno-Ugric languages of the Kola peninsula
[11]
논문
Language Policy Experiments: Creation of a Kola Saami Writing System in the 1930s
[12]
간행물
Kildin Saami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14]
간행물
Kildin Saami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Краткий граматический очерк саамского языка
http://saamruss.naro[...]
1985
[16]
서적
Clausal complementation in Kildin, North and Skolt Saami
De Gruyter Mouton
[17]
서적
Kildin Saami
De Gruyter Mouton
[18]
웹사이트
Kildin Sami at Ethnologue (18th ed., 2015)
http://www.ethnologu[...]
[19]
웹사이트
킬딘 사미어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